MongoDB와 VScode 이용한 드라이빙app 개발 일지 (2022.4.10)

 1. 카카오 API 사용을 통한 토큰 발급 

일단 카카오 로그인을 구현하려면 카카오에서 제공하는 api를 이용해야 했다. 

https://developers.kakao.com/docs/latest/ko/message/rest-api

공식 카카오톡 api 문서이다. 이전에 말했던 대로 우리는 사업자 등록이 5월로 예정되어있어 아직 카카오톡으로 전화번호 등 몇몇 필요한 정보를 가져올 수는 없었다. 

따라서 카카오톡 선택 요구 정보를 프로필, 성별, 이메일로 한 후 토큰 발급을 실행했다. 

전체적인 프로세스는 다음과 같았다.

(첫 등록일 경우)

첫 등록 확인 - join 등록, 카카오톡에 인증 요청 - 카카오톡 토큰 발급 완료시 - 토큰 처리해 - 필요 정보 확인 후 자동 회원가입 

(기존 사용자의 경우)

기존에 등록 확인 - kakao login 등록 - 카카오톡 로그인 -  인증 완료시 프로젝트 로그인 토큰 발급까지 연동

첫 등록의 경우 기존의 회원가입 미들웨어를 이용함과 동시에 위의 카카오 api를 이용하여 새로운 엔드포인트를 만들었다. 

기존 사용자의 경우 조금 복잡하게 구현하다 카카오에서 발급 받은 토큰에서 정보를 읽어 기존의 사용자인지 확인하는 미들웨어를 짜고 구현해두었던 로그인 토큰 발급과 연결해서 새로운 엔드 포인트를 만드는 방식으로 해결하였다.


2. 벡엔드 관리, 보수 

기존의 sms send 모듈에 관련하여 네이버 api 계정의 등록자 변경관련 논의와 현재 있는 미들웨어들의 표시형식 통일, 중복 부분 수정 등의 작업을 따로 진행했다. 또한 카카오톡 로그인 구현 중 로그인 에러가 나와 그것 또한 수정했다.


3. 개발환경 

개발은 github,VScode, postman, mongoDB를 활용해 진행하고 있으며 특히 카카오 Api를 실험하는데 가상으로 토큰을 발급받고 인증하는 것이 가능한 postman이 큰 도움이 되었다.


4. 팀을 떠나며 

초기에 아무것도 없는 상태에서 여러가지 미들웨어를 만들기도 했고 처음 만져보는 기술들을 사용해보기도 했다. 또한 다양하게 작업하며 소통의 중요성을 알아가기도 했다.  현재는 연구실 데이터 처리 관련 ai 분야에 연구를 하면서 동시에 본업에도 집중하고 싶어 팀을 떠났지만 아직 배울게 많다고 느낀 그런 경험이였다. 


댓글

이 블로그의 인기 게시물

다양한 계층 구현을 통한 오차역전파법 구현하기(2)